
-
교통정리 경기대회(11월 12일, 을지로입구에서 제2회 전국교통정리 경기대회 거행)
대한뉴스 제49호
-
58년 청계천 덮개공사
대한뉴스 제117호
1958
-
세종로에 있는 300여채의 판자집 자진 철거 및 이사
대한뉴스 제131호
-
가구 전시회(최초로 국산 서양가구 전시회가 열림)
대한뉴스 제212호
-
건설의 새소식(청계천 복개 콘크리트 도로가 완공)
대한뉴스 제343호
-
살인귀 `고재봉` 체포(청계천 5가 땅콩장수 김복수군의 신고로 체포)
대한뉴스 제443호
-
살인귀 `고재봉` 체포(청계천 5가 땅콩장수 김복수군의 신고로 체포)
대한뉴스 제443호
-
6.25 잿더미 이후 대한민국의 10년(청계천의 어제와 오늘 모습)
1966
-
토막 소식(상가아파트가 서울에 세워지게 됨(세운상가 아파트))
대한뉴스 제628호
1967.06.23.
-
토막 소식(서울 상가 아파트 준공식이 열림)
대한뉴스 제650호
1967.11.24.
-
서울 고가도로 건설 현황(청계천)
대한뉴스 제682호
1968.07.05.
-
토막 소식(중소기업은행 서울 을지로 신축 낙성식과 함께 업무 시작)
대한뉴스 제703호
1968.11.29.
-
우리는 건설한다-불량 판자촌을 합리적으로 정리하고 시민 아파트를 세우게됐습니다
1969
-
세운상가 화재
대한뉴스 제717호
1969.03.15.
-
우리는 건설한다(삼일 고가고속도로 개통식)
대한뉴스 제719호
1969.03.26.
-
건설의 현장(청계 고가도로 건설현장(청계천 전경))
대햔뉴스 제739호
1969.08.16.
-
이런일 저런일(청계천 하수처리장 건설 기공식)
대한뉴스 제780호
1970.06.13.
-
불조심(세운상가 화재 등 큰 화재)
대한뉴스 제862호
1972.01.15.
-
이런일 저런일(서울시 월동대책 연료 전시회, 을지로 2가에 마련)
대한뉴스 제957호
1973.11.10.
-
지하철 2호선 강북구간 기공
대한뉴스 제1230호
1979.03.23.
-
쉬지않는 건설(지하철 공사현장)
대한뉴스 제1418호
1983.01.06.
-
서울지하철 2호선(을지로구간, 9월 16일)
대한뉴스 제1455호
1983.09.24.
-
중고시장
대한뉴스 제1697호
1988.05.18.
-
기술교육 취업정보
대한뉴스 제1786호
1990.02.02.
-
청계천복원사업
서울정책아카이브
2014.05.11.
-
청계천 1부 "청계천을 덮어라"
TBS 시민의 방송
2015.12.28.
-
청계천 2부 "다시 흐르는 물줄기 천변풍경"
TBS 시민의 방송
2015.12.28.
-
[미니다큐] 오늘 - 133화 : 골목길 따라 "을지유람"
연합뉴스TV
2016.06.18.
-
을지로 산업 특화거리
B'Z UP
2016.07.20.
-
골목을 거닐며 펼치는 한판의 음악회 <입정동 손놀림>
김민수
2016.07.27.
-
[입정동 손놀림] vol.1 _ workshop
CreativeGroupNONI
2016.08.16.
-
[입정동 손놀림] vol.2 _ 목공 장인
CreativeGroupNONI
2016.08.16.
-
[입정동 손놀림] vol.3 _ 시보리 장인
CreativeGroupNONI
2016.08.16.
-
[입정동 손놀림] vol.4 _ 주물 장인
CreativeGroupNONI
2016.08.16.
-
[서울문화재단] 2016 복작복작 예술로(路) - 놀플러스 '입정동 손놀림'
스팍TV
2016.08.30.
-
골목길 시간여행 ep. 3 (을지로,을지유람,공구거리)
연합뉴스TV Entertainment
2016.11.20.
-
서울경기케이블TV뉴스: 두남자의히스토리: 따뜻한 강철도시 산림동
우리동네 우리방송
2017.02.02.
-
[490회] 창신동
KBS 다큐멘터리 3일
2017.03.05.
-
[531회] 성수동
KBS 다큐멘터리 3일
2018.05.27.
-
[541회] 을지로
KBS 다큐멘터리 3일
2018.08.12.
-
수리수리 얍 청계천 마이스터
EBS 다큐 시선
2018.06.28.
-
땅은 정의로운가
KBS 시사기획 창
2018.12.11.
-
70년 유산' 청계천 재개발 반대 기자회견, "폭력적 재개발"
tvFN
2019.01.17.
-
"을지로를 이대로 지켜주세요"|"탱크도 만든다"던 철공소, 냉면 가게... 사라질 위기|"재개발 재검토한다면서 철거는 계속.. 믿음 안가"|박은선 활동가
CBS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2019.01.17.
-
[시시각각] 을지로 재개발 전면 재검토, 형후 진행 방향은?
TBS 시민의 방송
2019.01.17.
-
청계천-을지로 재개발 반대 총궐기 대회 영상
위키트리
2019.01.17.
-
[TWO루맨] “청계천·을지로 재개발은 어디로.. 개발과 보존 사이” -김완 한겨레신문 기자
YTN RADIO
2019.01.22.
-
철거 현장에 직접 가보시겠습니까? | 을지로 360도 카메라로 보기
닷페이스
2019.01.24.
-
[GRIMMER] 을지로17길_서울특별시 중구 산림동
GRIMMER
2019.01.18.
-
[GRIMMER] 종로24길_서울특별시 중구 장사동
GRIMMER
2019.01.21.
-
[GRIMMER] 청계천로_서울특별시 중구 산림동
GRIMMER
2019.01.28.
-
[시시각각] 세운상가 재개발 전면 재검토, 핵심 쟁점과 전망은?
TBS 시민의 방송
2019.01.30.
-
좌충우돌 을지로 재개발… 문제와 대책은?
News1 눈TV
2019.02.13.
-
메이드 인 을지로
KBS 거리의 만찬
2019.02.22.
-
[긴급토론회] 청계천을지로 재개발 재생인가, 축출인가 - 도시재생 정책의 모순 진단
녹색당
2019.02.12.
-
[긴급토론회] 청계천을지로 재개발 재생인가, 축출인가 - 토지 수용과 배제된 세입자
녹색당
2019.03.08.
-
아직 있다, 을지로
Marie Claire Korea
2019.03.12.
-
[4화] 을지로 핫플이 철거될지 모른다고??? (feat. 박원순 시장에 전화걸기)
뉴스페이스
2019.03.20.
-
☆을지로에서 과거여행☆ ㄱ ㅣ억ㄴr ㄴ ㅣ.. 놀이하다 참교육 당함
뉴스페이스
2019.03.30.
-
[TV민생연구소] 노가리골목 원조집 폐업 위기? 을지로 재개발 해법 없나
TBS 시민의 방송
2019.04.26.
-
그곳에 삶이 있다_청계천 공구거리 재개발
KBS 열린채널
2019.05.10.
-
두 도시 이야기: 을지로의 낮과 밤
서울경제신문
2019.05.17.
-
세운상가, 도시재생을 묻다
KBS 시사기획 창
2019.05.21.
-
을지로에서의 우연한 산책
문화포털
2019.06.19.
-
무명문화재
리슨투더시티
2019.06.23.
-
청계천 아틀라스
리슨투더시티
2019.08.25.
❶ 논문
강영원 (2001). <대도시내 물류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 : 청계천상가 일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강우원 (1996). 서울 도심부 제조업의 입지특성 연구. <서울학연구>, 7, 191-224.
강현수 (1998). 대도시 도시형 소규모 제조업체의 입지 특성 및 육성ㆍ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공간과사회>, 10호, 59-100.
공금록 (2003). <청계천 복원 계획에 따른 주변 지역 개발 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권민영 (2015). <입체공원을 활용한 세운상가 리모델링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도형 (1998). <을지로 제5지구 도심재개발 현상설계안에 나타난 '건축적 공공성' 에 관한 연구 : 저층부의 공공성 개선을 위한 설계안 작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미경 (2017). <장소 특정적 예술의 공간적 상상력 : 서울 세운상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병욱 (2009). <공간의 생산과 미디어 담론 : 청계천의 1960년대 복개공사와 2005년 복원공사에 대한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병욱, 엄정윤, 김승현 (2010). 청계천 공간의 변화와 시기별 미디어 담론 변화에 대한 일 사례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51호, 26-46.
김병철 (2007). 서울시 청계천복원사업에 대한 도시유형론적 분석. <국토연구>, 제53권, 111-129
김상호 (1985). <서울시 도심적정 업종선정을 위한 타당성 연구 : 을지로 2가 재개발사업구역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익(2006). <도심부 가로 보행공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을지로 입구 사거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훈 (2000). <세운상가 주변 도심복합공간 개발구상 : 도시재개발 구역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용창 (1997). 서울시 토지이용에서 위치이용의 지역적 특성과 도심부 소규모사업장의 존재양식. <지리학 논총>. 22호.
김우웅 (1997). <3차원 도심활동회랑 개발구상 : 세운상가주변 도심재개발구역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원수 (2000). <서울시 도심형 소규모 제조업의 집단화전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은택, 김정빈, 금경조 (2019). 인스타그램 위치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을지로 3·4가 지역 활성화의 실증분석. <서울도시연구>, 20권 2호, 19-35.
김일림 (2015). 세운상가와 아키하바라의 공간학 - 전자상가로 보는 한국과 일본의 기술문화·대중문화·제작문화. <인문콘텐츠>, 39호, 125-160.
김정선 (2018). <도시 이미지 개선을 위한 랜드마크 건축물의 미디어사파드 디자인 연구 : 세운상가를 대상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희 (2008). “복원된 청계천”과 그 후 - 계몽주의적 프로젝트의 포스트모던적 실현. <현대미술학 논문집>, 제12호, 181-226.
김주용 (2016).
김진현 (2012). <청계천로 주변지역의 가로활성화 요인분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택빈 (1999). <건축 공간구성에서 자연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세운상가 지구의 도시공원화 계획안에 적용하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효찬 (1994). <조선시대 후기 한양 도시주택에서의 필지조직과 건축유형 : 인사동·장사동 지역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남기범 (2001). 청계천로변 전문상가의 신산업집적체형성과 사회적 자본의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4권 제2호, 79-96.
노명우 (2004). 청계천의 도시경관과 '서울적 상황' : 하나의 시도. <사회과학연구>, 12호.
류상윤 (2019). 1950년대 후반의 제조업 회사. <경영사학>, 88호, 47-68.
류호철 (2008). 사회적 공간으로서 청계천의 의미 형성과 변화.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11권 제1호, 259-298.
문희라, 서우석 (2018). 을지로와 홍대앞 디자인산업 클러스터 비교 연구. <문화경제연구>, 제21권 제2호, 89-124.
민범식 (1985). <서울 을지로 3가지구 환경개선 방안 연구 : 도시계획 기법을 적용하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민복기 (1995). <서울시 도시공간구조변화에 따른 도심부 개발 계획안 : 세운상가구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권일 (1999). <도심재개발의 다차원공간설계를 위한 도시설계 개선방안 : 을지로 3·4가역 주변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명현 (2004). <서울시 청계천복원사업의 갈등관리 과정에 관한 연구 : 서울시와 상인집단간의 협상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박민진 (2004). <신뢰구축을 통한 청계천복원사업의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배균 (1993). 서울시 인쇄업의 국지적 노동시장에 관한 연구. <지리학 논총>, 제22호, 57-76.
박상태 (2001). <공중권을 활용한 세운상가지구 재개발 가능성 구상 : 세운상가 도심재개발구역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선 (1992). <종로-을지로 지역의 가로체계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백선영, 안건혁 (2011). 20세기 초 서울 필지분할의 과정과 물리적 특성 : 인사동과 장사동의 막다른 골목형 도시 조직 유형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7권 1호, 157-164.
변희명 (2018). <세운상가군과 주변구역의 도시·건축계획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학조 (2006). 세운상가 4구역 도시 환경 정비사업에 있어서 도시와 건축. <건축과사회>, 3호, 228-239.
성지은 (2005). 청계천 복원사업의 갈등관리 전략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권 4호, 155-177.
성지은, 김주환 (2005). 청계천 복원사업에 나타난 상징정책 분석. <한국행정학회>, 39호 1권, 261-285.
손세관외(1996), 가로체계 및 필지조직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도시조직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서울의 청계천 이북지역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31권 3호, 21-36.
손창진 (2018).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도시재생 과정 연구 : 세운상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송도영 (2003). 청계천 공구상가의 공간구조와 사회적 성격. <환경사회학 연구>, 4호, 166-190.
송아라 (2019). <세운상가 일대 재정비계획에 있어 '보존' 논의의 형성과정과 주요 쟁점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나은(2006). <가로 공간 활성화를 위한 을지로 2가 제 16, 17지구 설계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심경미(2010). <20세기 종로의 도시계획과 도시조직 변화>.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심한별 (2013). <서울 도심부 도시형태 및 생산활동의 변화에 대한 제도주의적 해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안동혁 (2008). <건축적 랜드스케이프 개념을 적용한 세운상가 일대의 조경 설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예현 (2007). <청계천 지역의 장소성 변화에 관한 연구 : 도심재개발이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창모 (2005). 세운상가 - 태평양전쟁의 사생아, 광복 60년 극단의 도시 삶이 펼쳐졌던 곳. <건축과 사회> 2호, 248-258.
안채완 (2012). <청계천 복원에 따른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연종범 (2018). <1960-70년대 청계천 주민의 삶과 사회경제 변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염복규 (2015). 청계천 복개와 ‘1960년대적 공간’의 탄생. <역사비평>, 113호, 119-140.
염준혁 (2019). <세운상가 보행데크의 특성 연구 : 1단계 공공 선도사업 구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우대규 (2018). <청계천 복원 후 지역 산업 분포 및 공간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우동선, 조윤호 (2018). <서울 입정동 일대 도시조직의 적응 유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4권 7호, 99-106.
원경섭 (2000). <블록(Block)에 의한 도시공간 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 청계천-을지로 지구 블록 재개발에 적응하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경일 (1984). <도시의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도시경관 구성에 관한 연구 : 청계고가 도로변 도시환경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종진, 우명제 (2016). 서울시 제조업 집적지의 공간적 분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1권 2호, 73-91.
이경동 (2008). <청계천 복원에 따른 장소성의 변화와 인근 가로환경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기태 (2003). '청계천 사람들'의 과거에 대한 이해와 청계천 복원. <한국의 민속과 문화>. 7권, 149-173.
이동연 (2009). 세운상가의 근대적 욕망 - 한국적 아케이드 프로젝트의 변형과 굴절. <사회와 역사>, 82호, 249-282.
이두호 (2012). <세운상가에 대한 도시·건축적 재해석>.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범훈 (2017). <서울 도심부 보전의 형성과 변화: 2000년 이후 도심부 관리 계획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세영 (2005). 세운상가, 한국근대성의 공간적 알레고리. <문화과학>, 41호, 194-215.
이세훈 (2000). <역사문화환경보전 도시설계 연구 : 을지로2가 주변 도시설계 제안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승만 (2008). <영화적 묘사를 통한 세운상가 4구역 재개발에 관한 연구 : 크리스탈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이원상 (2007). <도심재생전략으로서 재개발정책의 특성 및 갈등에 관한 연구 : 서울시의 세운상가 재개발 계획을 사례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정원 (2003). <지역 재개발에 따른 도심 내 녹지가로(Green network)조성에 관한 제안 : 종로 세운상가 저층부 계획안>.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이종원 (2016). 사람중심의 청계천 복원사업 개선방안 연구 : 저소득층 소상공인의 입장 중심으로. <도시정책학회 학술대회>.
이지윤 (2020). <지하 공간의 공공적 활용도 제고를 위한 녹지 도입 계획 : 을지로 지하 공공 보행 공간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청미 (2005). <세운상가 보행데크의 계획이 주변지역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이현경 (2020). <도심 내 소규모 제조업 밀집지역의 장소성 도큐멘테이션 : 입정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현수 (2002). <도심내 녹지축 구현을 위한 세운상가군 재개발 계획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봉규 (2003). <청계천 복원계획에 대한 상인들의 위험인지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용순, 김택빈 (2018). 세운상가 공공공간 활성화 프로젝트를 통해 느낀 제도상의 제안. <건축과사회>, 31권. 66-69.
장유경 (2013). <청계천 복원이 주변 지가에 미친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명훈 (1985). <도시설계수법을 적용한 도심의 효율적인 재정비 계획에 관한 연구 : 세운상가 지구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미영 (2020). <산업화 '너머' 의 작업장 : 예지동 시계골목의 기술과 문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현영 (2020), <을지로 가로 활성화를 위한 복합공유주방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연중 (2018). <을지로 제조업 밀집지역 관람대상화에 관한 연구 : 중구 도보관광 '을지유람' 의 공간적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인국 (2004). <비선호시설 사업에 따른 지역주민의 대응유형 연구 : 청계천복원사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충현 (1989). <세운상가 재활용 계획에 관한 연구 : 공공영역 계획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학성, 김숙진 (2020). 세운상가 일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본 한국 도시재생의 통치성과 영토화 전략. <한국지리학회지>, 9권 3호, 533-547.
정현암 (2006). <도심 부적격 상업기능의 재배치계획에 관한 연구: 청계천변 전자·전기상 이전계획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동원 (2017). 청계천 전자상가, 복제의 기술문화, 디지털문화의 형성.
조명래 (2003). 청계천의 재자연화를 둘러싼 갈등과 쟁점. <환경사회학 연구>, 4호, 130-165.
조성원 (2009). <청계천 복원에 따른 인접지역 건축물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혜정 (2009). <을지로 인쇄지구에서 사회자본의 역할 : 장항 인쇄지구와의 비교를 통해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진옥현 (2008). <도시재생프로젝트가 도시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청계천 복원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채민수 (2011). <청계천 변 인프라의 건축화 작업을 통한 추모관 계획 : 전태일 추모관 계획안>.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채훈 (2008). <청계천복원사업에 따른 보행네트워크와 건축물 용도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천휘원, 남경숙 (2019). 감성디자인을 통한 낙후지역의 활성화 사례 분석 - 을지로의 문화상업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1권 3호, 96-99.
최림 (2017). <1960년대 말 김수근의 도시건축에 나타난 인공대지에 관한 연구 : 세운상가 및 여의도계획 초기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민아(2014). <장소마케팅 관점에서의 건물전면공간 발전방향 연구 : 서울시 청계천 주변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성문 (2014). <공공디벨로퍼의 비공공성 연구 - 청계천복원사업과 '가든파이브' 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영금 (2019). <도시재생 거버넌스 활동 사례 연구 : 세운상가 일대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혁규 (2019). 청계천·을지로 재개발 반대운동의 투쟁 방식과 활동가들의 경험 -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를 중심으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연구보고서>, 3-36.
최혁규 (2020). ‘세운재정비촉진지구'에서 ‘청계천-을지로 산업생태계'로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의 저항 방식과 활동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문화연구>, 45-84.
하동균 (2005). <공간적 입지 특성이 도시내 산업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청계천 지역의 제조업 및 도소매업종을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수현 (2006). <통합적 갈등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청계천 복원 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현정 (2001). <도시 가로의 결절부를 이용한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종로3가 장사동 가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허태욱 (2004). <도시거버넌스와 갈등에 관한 연구 : 청계천복원사업을 사례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길동 (2004). <장소적 표현특성을 고려한 청계천 복합문화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서진 (2009). <도심 조직과 경관을 고려한 청계천변 주상복합 계획안>.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성준 (2005). <청계천이 종로 주변 도시조직 형성에 미친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성진 (2001). <커뮤니티 공간으로의 세운상가 Renovation적용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성태 (2004). 청계천 복원사업과 청계천의 파괴: 이명박 시장의 신개발주의와 이익의 정치. <경제와사회>, 63권, 39-64.
황기연, 나태준 (2005). 청계천 복원사업의 갈등관리 사례분석. <서울도시연구>, 제6권 제4호, 169-190.
황필선 (2006). <공공사업의 예방적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 청계천복원사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황현철 (2001). <세운상가 재개발 계획안 : 도심지역 기능의 연결성과 도시공원화 계획>.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❷ 보고서
걷고싶은도시만들기시민연대 (2021). <예술작품 제작 과정에서 을지로 기술생태계 이용 방식>. 서울: 중구문화재단.
금기용, 반정화, 김묵한 (2013). <서울시 우리 동네 특화업종 생태계 연구>(서울연 2012-BR-15). 서울: 서울연구원.
김묵한, 정현철, 황민영 (2016). <서울시 주요 제조업의 공정특성별 공간 분포>(서울연 2015-PR-45). 서울: 서울연구원.
김성우외 (2015). <세운상가 그 이상: 대규모 계획 너머>. 서울: 공간서가.
(주)메가리서치 (2015). <을지로 특화업종 관련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중구청 시장경제과.
서울디자인재단 (2019). <청계천 안전안심 디자인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서울디자인재단.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청계천 대토론회: 청계천 복원에 따른 도심부 발전방안>.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역사박물관 (2005). <다시 찾은 청계천>. 서울: 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0). <세운상가와 그 이웃들 1 - 산업화의 기수에서 전자만물시장까지>.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0). <도심 속 상공인 마을 2 - 도심 상공인들의 생활문화>.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1). <동대문 시장 - 불이 꺼지지 않는 패션 아이콘>.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2). <창신동 - 공간과 일상>.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4). <성수동>.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4). <황학동>.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6). <인현동 - 세상을 찍어내는 인쇄골목 인현동>.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연구원 (2014). <도시계획을 통한 도심산업 육성·발전 방안>. 서울: 서울특별시 역사도심 관리과.
서울연구원 (2014). <토론회자료집: 도시재생의 관점에서 본 세운상가군 재조명>. 서울: 서울연구원.
서울특별시 (2003). <청계천복원관련 상인대책추진 백서(가안)>. 서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2006). <청계천 복원사업 백서>. 서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2018). <다시 세운을 만들다: 기술의 역사와 미래의 열정이 함께 만든 1273일의 기록>. 서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2020). <세운일대 산업 특성 조사 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도심재정비1담당관 (2009). <세운재정비촉진지구 그 과정의 기록>. 서울: 서울특별시.
서해문화재연구원 (2019). <세운 재정비촉진지구 3-4,5구역 문화재 발굴조사 시발굴조사 약식보고서>. 서울.
오은주, 김범식, 김묵한, 반정화, 윤형호, 정병순, 조달호, 최봉, 유승남 (2016). <제조업 다시보기: '매뉴팩처 서울' 도약 전략>(서울연 2016-PR-04). 서울: 서울연구원.
이동연·조동원·김일림 (2015). <한국·일본·대만·홍콩의 전자상가와 동아시아 디지털 문화형성 결과 보고서>. 광주: 아시아문화정보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정병순 (2006). <서울시 도심의 산업구조변화에 따른 산업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져스트 프로젝트 (2018). <청년 생산활동 촉진을 위한 산업 생태계 현장연구 - 을지로 지역의 2차 및 4차 산업을 중심으로>. 서울: 서울특별시·청년허브.
중구문화재단 (2019). <중구예술인기초조사>. 서울: 중구문화재단.
중앙문화재연구원 (2003). <청계천 복원구간내 유적 시굴조사 약식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최봉, 김묵한 (2015). <서울시 소규모 제조업 밀집지역 현황과 전망>(서울연 2014-PR-38). 서울: 서울연구원.
한국건축역사학회 (2017). <포용의 도시 을지로, 을지로 100년의 도시와 건축>. 서울: 서울특별시.
❸ 기타 간행물
강우원외6명 (2009). <청계천, 청계고가를 기억하며>. 서울: 마티.
공공네트워크 (2016). <2016 SEWOON WORKERS ARCHIVE>. 서울: 서울특별시.
공공네트워크 (2017). <세운사람들>. 서울: 서울특별시.
공공네트워크 (2017). <걷다, 세운>. 서울: 서울특별시.
공공네트워크, 시민자치문화센터 (2018). <2017 손끝창의학교>. 서울: 서울특별시.
김똘똘 (2019). <가삼을지로 탄생기>. 서울.
김미경 (2018). <다시, 을지로 - 우리는 지금 을지로에 간다>. 서울: 스리체어스.
김성우, 이영범, 제프 해멀, 케이스 크리스티안서 외 (2015). <세운상가 그 이상: 대규모 계획 너머>. 서울: 공간서가.
김은정 (2020). <을지로 그림책 : 철거 전의 을지로, 그 마지막 기록>. 서울: 푸른북스.
내용연구소 (2018). <산림살림>. 서울: (재)중구문화재단 충무아트센터.
노무라 모토유키 (2013). <노무라 리포트 - 청계천변 판자촌 사람들 1973-1976>. 서울: 눈빛.
문화연대 (2003). <청계천 탐험>. 서울: 문화연대.
박성수 (편) (2008). <청계천, 끝나지 않은 신화>. 서울: 사닥다리.
배민, MJ KIM (2020). <어이, 주물씨 왜, 목형씨>. 서울: 배달의민족.
서울디자인연구소 (2017). <반짝반짝 을지로 : 조명이 공간을 바꾼다>. 서울: 서울디자인재단.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2019). <세운콘크리트>.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연구원 (2018). 제2부 메이드 인 서울: 서울의 도시제조업. <서울의 공간경제학>. 서울: 서울연구원.
서울중구청 (2018). <중구통계연보>. 서울: 중구청.
서울특별시 (2017). <다시세운 메이커시티>. 서울: 서울특별시.
설동주 (2020). <을지로수집>. 서울: 비컷.
세운협업지원센터 (2017). <소식지: 안녕하세운>. 서울: 서울특별시.
세운협업지원센터 (2019). <함께세운만들기>. 서울: 서울특별시.
신재원, 장홍규 (2017). <세운식탐>.
안미경 (2019). <청계천 탱크>. 서울: 다인아트.
윤홍은 (2004). <마지막 공간 - 청계천 사람들의 삶의 기록>. 서울: 삶이보이는창.
어반플레이 (2018). <아는동네 아는을지로 : 동네를 경험하는 새로운 기준, Vol.02>. 서울: 어반플레이.
엄은경외 (2020). <을지로 이야기를 담다>. 서울: 푸른북스.
을지예술센터 (2020). <뉴물전>. 서울: 을지예술센터.
을지예술센터 (2020). <루트메탈리카>. 서울: 을지예술센터.
이경재 (2002). <청계천은 살아있다>. 서울: 가람기획.
이종호 (2013). <을지로 1 : 을지로를 말하는 12개의 도시 건축적 시선>. 서울: 우리북.
이종호 (2014). <을지로 2 : 을지로를 말하는 17가지 도시건축적 시도들>. 서울: 우리북.
전우용 외 (2001). <청계천: 시간, 장소, 사람: 20세기 서울 변천사 연구>.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조광권 (2005). <청계천에서 역사와 정치를 본다 : 다시 흐르는 청계천>. 서울: 여성신문사.
최인기 (2018). <청계천 사람들, 삶과 투쟁의 공간으로서 청계천>. 서울: 리슨투더시티.
최협 (2012). <판자촌 일기 - 청계천 40년 전>. 서울: 눈빛.
청계천박물관 (2006). <노무라 할아버지의 청계천 이야기>. 서울: 청계천박물관.
청계천박물관 (2013). <청계천 1930>. 서울: 청계천박물관.
청계천박물관 (2018). <메이드 인 청계천 : 대중문화, '빽판' 의 시대>. 서울: 청계천박물관.
한국산업용재협회 (2020). <회원명부>. 서울: 한국산업용재협회.
OO은대학연구소 (2020). <산업정보>. 서울: 우리기획.
OO은대학연구소 (2020). <세운 초보들의 제작기, 미리보기>. 서울: 서울특별시.
OO은대학연구소 (2020). <시민플랜 2.0>. 서울: 서울특별시.
OO은대학연구소 (2021). <을지로는 기술대학 로컬코스>. 서울: 서울특별시.
OO은대학연구소 (2021). <청계천의 일하는 사람들>. 서울: 서울특별시.
magazine DEEP 편집부 (2019). <딥 DEEP Vol.007 : 을지로>. 서울: 마실와이드.

위치
을지로3가 209번지 가옥 중 정면에서 보면 가장 우측에 위치
세부공정
용접
구성원
2인 작업장 (대표자 1인과 직원 1인)
보통은 둘이서
작업하고 가끔 일이 많을 때는 1명이 추가로 함께 일한다. 40대의 젊은 사장님으로 인근 황동메탈에서 일하다
독립하였다. 업체명 DS는 동성(同成, 함께 성공)의 약자이다.

모델명
YSTM-19
제조사
용수
사이즈
200*640*1,250(mm)

입수방법
직접제작
사이즈
1,480*930*810(mm)

입수방법
직접제작
사이즈
1,220*650*800(mm)

입수방법
직접제작
사이즈
1,220*2,440*730(mm)

모델명
pache-350
제조사
뉴포스-테크
사이즈
740*550*570(mm)


위치
입정동 155번지 가옥 북측에 면한 세 업체 중 가장 서쪽
세부공정
세부공정 정밀가공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하얗고 긴 머리를 풀어헤친 사장님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다른 기술자들에 비해 말을 조리있게 잘하는 편이며,
아민테크 동료들이 자주 모이는 곳이기도 하다.

모델명
TIPL-4
제조사
통일
사용시작
1991년
입수방법
구매(당시 800만원)
사이즈
2,160*850*1,250(mm)

모델명
STD-360
제조사
삼천리
사용시작
2001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300*650*1,000(mm)

모델명
YSDM-19
제조사
용수
사용시작
2001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360*600*1,250(mm)

제조사
일광정공
사용시작
2001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1,550*1,400*2,500(mm)

모델명
TIG 350
제조사
맹호산업
사용시작
2001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800*300*1,500(mm)

위치
입정동 155번지 가옥 북동측 모서리
세부공정
정밀가공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작은 체형의 하얀 파마머리 사장님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제조사
통일
사이즈
2,170*850*1,300(mm)

모델명
KMC 7700
제조사
기흥
사이즈
1,530*1,520*2,160(mm)

모델명
YSTM-19
제조사
용수
사이즈
540*610*1,240(mm)

위치
을지로3가 206번지 가옥 중 속골목 오른편 끝쪽 작업장
세부공정
샌딩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을지로3가 206번지 가옥에서 현재
일하고 있는 업체 중 제일 먼저 <미림샌딩>이 들어왔고, 다음에 <강원빠우>가 들어왔다. <미림샌딩>
사장과는 함께 밥도 먹고 술도 마시는 막역한 사이인데, 빠우와 샌딩이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이라 예전에는 저녁에 작업장에서 삼겹살도 구워먹고 술도 많이 마셨다.

사이즈
910*700*1700(mm)

사이즈
500*460*2000(mm)

사이즈
1400*460*600(mm)

위치
을지로3가 206번지 가옥 내 속골목으로 들어가면 가장 안쪽에 자리잡은 작업장
세부공정
샌딩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박0익은 1947년생으로 1970년대
후반부터 청계천에서 일을 시작했고, 1998년부터 본 작업장에서 일을 했다. ‘강원’이란 이름은 이전에 같이
동업하던 사람과 본인이 모두 강원도 출신이라 <강원빠우>라고 지었다. 일을 할 때 앞치마를 착용한 모습이
인상적이다. 빠우작업시 효율적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앞치마를 착용하고 손과 함께 배로 압력을 가한다.

사이즈
1,080*200*800(mm)
사이즈
2,000*1,500*1,500(mm)

위치
을지로3가 209번지 가옥 중 속골목으로 들어가 좌측에 위치
세부공정
서비스. 다방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세운 3-1구역에 있다가 개발이 진행되며
원래 대한스프링 영업장의 일부 공간에 들어왔다. 사장님은 배달이 없는 쉬는 시간에 시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걸 즐겨한다.

제조사
LG
사이즈
600*550*1,600(mm)

제조사
clover
사이즈
400*350*1,350(mm)

사이즈
590*700*870(mm)

사이즈
1,710*450*750(mm)

제조사
롯데기공
사이즈
680*680*740(mm)

위치
을지로3가 209번지 가옥 중 속골목 입구 바로 오른편에 위치
세부공정
컴퓨터 조각
구성원
대표자와 직원1인
아내가 직원으로 같이 일함

제조사
화일
사용시작
2001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1,000*1,100*400(mm)

사용시작
2001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1,020*960*1,030(mm)

모델명
BS-3600
제조사
한일
사이즈
180*600*1,030(mm)

위치
입정동 105번지 3층 건물 중 1층의 가장 왼쪽
세부공정
정밀가공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사장님의 돋보기를 쓰고 작업장 안쪽에
앉아있거나 담배를 피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오토바이를 자주 이용하여 출퇴근을 하며 청계여관 옆 골목
안쪽에 세워놓고 작업장과 오토바이 사이를 자주 오가는 모습이 보인다.

제조사
통일
사이즈
2,100*550*1,250(mm)



위치
입정동 105번지 3층 건물 중 좌측면에 위치함
세부공정
서비스. 세탁소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사이즈
840*490*1000(mm)

제조사
YAMATO
사이즈
500*120*500(mm)

제조사
삼성
사이즈
680*640*1200(mm)

위치
입정동 105번지 3층 건물 중 1층의 가장 왼쪽에 위치
세부공정
용접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신화공업사의 대표는 같은 건물에 위치한
동진공업사 대표의 형이다. 동생은 형에게 용접기술을 배웠다. 최근 안과 수술을 받아 썬그라스를 자주 쓰고
있다.

모델명
DS-120
제조사
달수철공소
사용시작
1984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180*640*1,000(mm)


위치
입정동 105번지 3층 건물 중 1층의 중앙부 (계단입구 좌측)
세부공정
정밀가공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대표 김0구는 1958년생이다. 현재는
한창 때보다 일감이 줄어 작업장 앞 골목에 나와 동료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다른 곳에서 술마시는 모습이 눈에
많이 띈다. 작업장 입구에 세로로 긴 ‘청계축구동우회’ 간판이 눈에 띄는데, 김0구는 과거에 회장을
역임했었다.

모델명
TIPL-4
제조사
통일
제조일
1989.02.13
사이즈
2,200*650*1,220(mm)

제조사
화천기공
제조일
1989.02.
사이즈
1,850*530*1,220(mm)

모델명
STD-410
제조사
삼천리
사이즈
높이 1,200(mm)

모델명
CMT-1200
제조사
청송기계
제조일
1990.07.
사이즈
2,200*1,425*2,180(mm)

모델명
SMD-360
제조사
삼천리
사이즈
540*200*940(mm)

위치
입정동 105번지 3층 건물 중 2층 정면부에 위치
세부공정
서비스. 다방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젊었을 때부터 입정동에 들어와 다방일을 시작했다. 젊었을 때부터 경험한 일들로 인해 남성 중심의
문화에 대해
비판적인 이야기도 자주 한다. 음료 뿐만 아니라 가끔 주변 사장님들의 요청이 있을 때는 식사를
준비해서
팔기도 한다.

사이즈
1,050*600*720(mm)

사이즈
570*550*730(mm)

사이즈
750*680*1,650(mm)

사이즈
640*580*1,900(mm)

제조사
롯데기공
사이즈
1,050*700*950(mm)

사이즈
930*600*800(mm)

사이즈
1,200*570*640(mm)

모델명
Satis-2
제조사
Ranee
사용시작
1997년
사이즈
590*380*150(mm)

위치
입정동 105번지 3층 건물 중 1층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함
세부공정
용접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기술자 정보
1959 출생
1979 21세 군 입대
1983 25세 전역 후 목기 제작 및 칠
1987 29세 결혼
1987 29세 형이 운영하는 청계천 대진공업사에서 용접일 시작
1992 34세 동진공업사 창업
용접 기술자 한0호는 1959년 서울 신당동에서 목기 제작을 하던 부모님 슬하에서 태어났다. 원래는
공고에서
전산 쪽을 공부했으나 군 전역 후 부모님의 일을 도우며 목기 칠 일을 한다. 그러다 1987년에 용접
기술자인 형이 운영하던 입정동 <대진공업사>에서 용접 기술을 배우기 시작한다. 1992년에는
형으로부터
독립해 <동진공업사>를 창업했고, 규모가 큰 인테리어 제품이나 여러 실험기구들 그리고
대학생들의
졸업작품 등의 다양한 것들을 만들고 있다.

사이즈
3,800*2,470*20mm

사이즈
250*250*530(mm)



사이즈
350*600*1,350(mm)

위치
을지로3가 206번지 건물 중 속골목으로 들어가면 왼쪽 위치
세부공정
프레스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제조사
남선
사이즈
1,500*1,400*2,000(mm)

사이즈
800*900*1,800(mm)

제조사
영진
사이즈
1,200*1,200*2,300(mm)

제조사
국도
사이즈
1,400*1,400*2,550(mm)

위치
을지로3가 217번지 건물 중 정면에서 보면 가장 오른쪽에 위치
세부공정
정밀가공/자동선반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모델명
YSTM-19
제조사
용수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300*620*1,220(mm)

모델명
DH-32
제조사
동양전기
제조일
2000년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1,260*450*1,150(mm)

모델명
DH-32
제조사
동양전기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1,150*450*1,150(mm)

제조사
SHAUN SHIN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4,550*800*1,600(mm)

모델명
DK-32
제조사
동국기계
제조일
2005.05.26.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1,050*450*1,150(mm)

모델명
STD-410
제조사
삼천리
사용시작
2012년
사이즈
330*630*1,250(mm)

모델명
DH-32
제조사
동양전기
제조일
1990.12.
사용시작
2020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1,300*450*1,150(mm)

제조사
연합기계산업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4,800*750*1,500(mm)

제조사
연합기계산업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5,000*750*1,500(mm)

위치
을지로3가 217번지 건물 중 정면에서 보면 가운데 위치함
세부공정
시보리
구성원
대표자와 직원 2-3인
가까운 인근에 별도의 작업장이 있으며
직원들은 대부분 인근 작업장에서 일하고 본 작업장은 대표자만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영업 및 휴식 등으로
동네에서 왔다갔다하는 대표를 자주 볼 수 있다.

제조사
명신공업사
사용시작
1990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900*1,200*2,300(mm)

사용시작
1983년
입수방법
직접제작
사이즈
620*1,000*1,900(mm)

사용시작
1983년
입수방법
직접제작
사이즈
1,400*450*900(mm)

위치
을지로3가 225-6번지 건물 중 속골목 좌우측 두 개의 공간
세부공정
주물
구성원
대표, 공장장 및 6-7명의 직원
대표는 서글서글한
인상과
이미지를 풍긴다. 길에서 마주치면 거수경례와 큰 목소리로 반갑게 인사해준다. 방송프로그램
'서민갑부'에
출연한 경력이 있으며 유머와 말솜씨가 좋다.


입수방법
직접제작


입수방법
직접제작



위치
을지로3가 209번지 건물 중 속골목으로 들어가면 우측 위치
세부공정
목형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대표 장0일은 1958년생으로 작은
체격이긴 하지만 동네에서 알아주는 마당발이다. 주변 동료들은 ‘소문을 내고 싶으면 장0일 사장에게 얘기하면
하루 내에 동네가 안다’고 우스게소리로 말한다. 점심식사 후에 이 작업장에서 식후 커피를 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주로 맞은 편에 다방에서 시켜 마신다. 작업장 내 TV는 항상 켜져있다.

사이즈
2,290*1,000*810(mm)

모델명
HBO-13
제조사
GENERAL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540*720*900(mm)

제조사
TOWA
제조일
1963년
사용시작
1983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1,000*550*1,610(mm)

사용시작
1986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405*950*50(mm)

제조사
삼호기계공업사
제조일
1973년
사용시작
1986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1,650*250*1,030(mm)

사용시작
2006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280*560*130(mm)
-
목형작업장의 소리 1
2021. 11. 18, 수집팀
-
목형작업장의 소리 2
2021. 11. 18, 수집팀
-
목형작업장의 소리 3
2021. 11. 18, 수집팀
-
스프링공장의 소리
2021. 11. 18, 수집팀
-
다방의 소리
2021. 11. 18, 수집팀
-
절단의 소리
2021. 11. 18, 수집팀
-
절단작업장의 소리 2
2021. 11. 18, 수집팀
-
동네음식점과 골목길 소리
2021. 11. 18, 수집팀
-
용접작업장의 소리 1
2021. 11. 18, 수집팀
-
용접작업장의 소리 2
2021. 11. 26, 수집팀
-
용접작업장의 소리 3
2021. 12. 02, 수집팀
-
정밀작업장에서의 투어진행 소리
2021. 11. 26, 수집팀
-
재개발공사장 소리
2021. 12. 02, 수집팀
-
프레스작업장의 소리
2021. 12. 02, 수집팀
-
로구로작업장의 소리
2021. 12. 02, 수집팀
-
입정동 좁은 골목의 소리
2021. 12. 02, 수집팀
-
입정동 카페 앞 소리
2021. 12. 02, 수집팀
-
다방의 '달그락'
2021. 06. 24, 안근철
-
리듬악기
2020. 10. 08, 방나영
-
스댕 연마
2021. 10. 20, 반디(한준)
-
을지로 기록 현장에서 전날 왔던 빗방울 떨어지는
2020. 08. 06, 이택수
-
철공소의 일상 소리
2021. 11. 03, 최하연
-
을지로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2021. 10. 29, 최하연

























































크레딧
Credit
자료수집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 (박은선, 안근철, 장현욱, 최혁규)
양은수, 오승예, 최하연
00은대학연구소 (소리채집)
테크캡슐 (VR촬영)
DATA COLLECTION
PARK Eunseon, AHN Kunchul, JANG Hyunwook, Choi Hyukkyoo
YANG Eunsue, OH Seungye, CHOI Hayeon
OOuniv lab
Techcapsule
웹사이트 디자인
스튜디오 임진 (임진경)
WEBSITE DESIGN
studio imjin
지원
걷고싶은도시만들기시민연대
SUPPORT
Urbanactionnetwork
도움주신 분들
세운3구역 비상대책위원회, 산림동상공인연합회
PEOPLE who helped us
SewoonDistrict-3 EmergencyResponseCommission, Sanrim-dong Fedecamaras
정밀가공
정밀가공 또는 절삭은 재료의 절삭성을 이용하여 재료를 자르거나 깎는 가공 법으로 주로 선반과 밀링머신과 같은 공작기계를 이용한다. 선반(lathe)은 가 공물을 회정시킨 뒤 절삭공구를 좌우로 움직여 가공하는 방식이고, 밀링머신 (milling machine)은 회전하는 밀링커터를 위아래로 움직이고 테이블에 고정된 가공물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절삭하는 방식이다.
프레스
기계적 강압을 이용해 금속 표면에 문양을 새기거나 판금의 형태를 가공하는 방법이다. 프레스 기계는 쓸모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단조 프레스 와 파워 프레스가 그것이다. 단조 프레스(forging press)는 250~5000톤 정도의 중량으로 금속을 타격하여 압력을 가할 때 사용된다. 문양이 조각된 금형을 장 착한 프레스 펀치를 금속에 때려 금속에 문양을 새기거나 그 모양으로 판금을 성형하는 방식으로, 주로 뱃지나 메달 등을 만든다. 파워 프레스(power press) 는 0.5~5톤 정도의 중량으로 판금의 형태를 성형한다. 파워 프레스는 금형의 형태로 판금을 가공하는데, 최소 3대 정도의 프레스를 사용해 여러 판금을 가 공한뒤이를용접하거나조립한다.중량에따라기계가가공할수있는금속의 종류와 두께가 다양하다. 무게와 중력을 이용해 금속판에 충격을 가하는 방식 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기계 자체가 무겁고 부피가 크다. 기계가 작동할 때마 다 쿵쿵거리는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땅 속 깊숙이 기계의 하단부를 고정한다.
목형
목형은 제조과정에서 금속 주형을 위해 나무 재료로 만든 가공물의 형상 혹은 그러한 공정으로 주로 목공선반, 띠톱, 둥근톱, 실톱, 대패, 드릴링머신, 목형 연 마기 등의 기계와 도구를 이용해 만든다. 정밀한 치수의 모형을 만들기 때문에 톱과 대패와 끌을 이용해 목재를 치수에 맞게 자르고 다듬는게 중요하다.특히 주물에서 쇳물이 고체가 되면서 사이즈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계산해 도면을 그려야하며, 주물 작업을 위한 가공물의 형태를 만드는 작업이다.
주물
금속물을 용해로에 녹인 뒤 주물틀에 붓고 식혀 공작물의 형태를 만드는 가공 법이다. 주형과 주조법에 따라 주물의 종류가 나눠지는데, 도심제조업 내 주물 공장들은 대개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을 융해시킨 쇳물을 뻘흙으로 만든 주 형틀에 부어 가공하는 모래주물을 한다. 주문이 들어오면 가공물과 같은 형태의 목형을 만든다. 소량을 만들어야 할 시 목형을 가지고 주물 작업을 하고, 대량으로 만들어야 할 시에 목형을 다시 여러개의 금형으로 제작해 주물을 뜬 다음 두 개의 주물틀을 겹쳐 목형이나 금형을 넣을 수 있도록 절반 지점을 찾아 흙으로 다져 주형틀을 만든다.윗틀에는 물집을 만들어 쇳물을 붓고,아랫틀에는 가스가 빠질 수 있도록 구멍을 뚫는다. 가공물 형태와 금속의 종류에 따라 용탕 주입의 방식이 다른데, 만약 잘못 붓는다면 물건의 형태가 거칠어지거나 망가질 수 있다. 형틀에 맞는 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열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쇳물을 한번에 부어서는 안된다. 주물 공장은 주물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기계들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드릴링머신, 연마기, 샌딩머신 등을 통해 주물 공정이 완료된 반제품들을 후가공한다. 주물공장은 철을 용해하는 작업을 하기 때문에 용해로를 팔 수 있는 충분한 공간과 높은 전력이 필요하다. 또한 금속이 식는 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집진기나 환풍구 등 공기정화시설도 요구된다.
시보리
시보리(しぼり)는 스피닝 선반(spinning lathe)에 금속판과 금형을 맞물려 고속으로 회전시킨 뒤 주걱봉으로 금속판을 밀어내어 금형 모양에 맞게 변형시키는 가공방식이다. 평평한 금속 원판을 봉으로 밀어 원뿔 혹은 반구 형태로 늘리는 공정으로 금속의 늘어나는 성질인 연성(ductility)을 이용하는 소성가공이다. 주로 제작하는 공작물의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기계를 주문 제작하거나 개조하는 경우가 많다.
용접
용접은 열과 압력을 가해 용접봉을 녹여 금속 재료를 서로 접합시키는 방법이 다. 주로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여러 재질의 용접봉을 이용해 산소 아세틸렌 용접,아르곤 아크 용접 등을 한다. 금속 재료의 종류와 차후 활용 용도에 따라 용접봉과 용접기의 종류가 결정된다. 청계천 일대 작업장에서는 주로 아르곤 가스를 이용하는 알곤용접을 한다. 용접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들은 금속 재료들을 자르거나 이어 붙어 구조물을 만드는 일을 하거나,금이 가거나 쪼개진 금속 제품을 다시 접합시켜 수리하는 일을 한다. 용접기가 세면 용접봉만이 아니라 금속재료가 녹아버릴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는 감각이 중요하고, 용접봉을 녹일 때 순식간에 강한 열과 센 빛이 발생하기 때문에 용접 마스크와 보호장갑을 필수로 착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