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정동 및 세운상가 일대 지역’, ‘도심산업’, ‘도심재개발’과 관련된 영상과 논문, 단행본 등의 자료 목록을 볼 수 있다. 본 자료들을 토대로 많은 연구 및 창작작업이 연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You can see a list of videos, papers, and books related to "Ipjeong-dong and Sewoon Shopping Center areas", "City Industry" and "City Redevelopment". Based on these materials, it is expected that many research and creative works can be connected.

❶ 논문

강영원 (2001). <대도시내 물류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 : 청계천상가 일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강우원 (1996). 서울 도심부 제조업의 입지특성 연구. <서울학연구>, 7, 191-224.

강현수 (1998). 대도시 도시형 소규모 제조업체의 입지 특성 및 육성ㆍ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공간과사회>, 10호, 59-100.

공금록 (2003). <청계천 복원 계획에 따른 주변 지역 개발 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권민영 (2015). <입체공원을 활용한 세운상가 리모델링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도형 (1998). <을지로 제5지구 도심재개발 현상설계안에 나타난 '건축적 공공성' 에 관한 연구 : 저층부의 공공성 개선을 위한 설계안 작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미경 (2017). <장소 특정적 예술의 공간적 상상력 : 서울 세운상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병욱 (2009). <공간의 생산과 미디어 담론 : 청계천의 1960년대 복개공사와 2005년 복원공사에 대한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병욱, 엄정윤, 김승현 (2010). 청계천 공간의 변화와 시기별 미디어 담론 변화에 대한 일 사례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51호, 26-46.

김병철 (2007). 서울시 청계천복원사업에 대한 도시유형론적 분석. <국토연구>, 제53권, 111-129

김상호 (1985). <서울시 도심적정 업종선정을 위한 타당성 연구 : 을지로 2가 재개발사업구역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익(2006). <도심부 가로 보행공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을지로 입구 사거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훈 (2000). <세운상가 주변 도심복합공간 개발구상 : 도시재개발 구역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용창 (1997). 서울시 토지이용에서 위치이용의 지역적 특성과 도심부 소규모사업장의 존재양식. <지리학 논총>. 22호.

김우웅 (1997). <3차원 도심활동회랑 개발구상 : 세운상가주변 도심재개발구역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원수 (2000). <서울시 도심형 소규모 제조업의 집단화전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은택, 김정빈, 금경조 (2019). 인스타그램 위치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을지로 3·4가 지역 활성화의 실증분석. <서울도시연구>, 20권 2호, 19-35.

김일림 (2015). 세운상가와 아키하바라의 공간학 - 전자상가로 보는 한국과 일본의 기술문화·대중문화·제작문화. <인문콘텐츠>, 39호, 125-160.

김정선 (2018). <도시 이미지 개선을 위한 랜드마크 건축물의 미디어사파드 디자인 연구 : 세운상가를 대상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희 (2008). “복원된 청계천”과 그 후 - 계몽주의적 프로젝트의 포스트모던적 실현. <현대미술학 논문집>, 제12호, 181-226.

김주용 (2016). .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진현 (2012). <청계천로 주변지역의 가로활성화 요인분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택빈 (1999). <건축 공간구성에서 자연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세운상가 지구의 도시공원화 계획안에 적용하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효찬 (1994). <조선시대 후기 한양 도시주택에서의 필지조직과 건축유형 : 인사동·장사동 지역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남기범 (2001). 청계천로변 전문상가의 신산업집적체형성과 사회적 자본의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4권 제2호, 79-96.

노명우 (2004). 청계천의 도시경관과 '서울적 상황' : 하나의 시도. <사회과학연구>, 12호.

류상윤 (2019). 1950년대 후반의 제조업 회사. <경영사학>, 88호, 47-68.

류호철 (2008). 사회적 공간으로서 청계천의 의미 형성과 변화.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11권 제1호, 259-298.

문희라, 서우석 (2018). 을지로와 홍대앞 디자인산업 클러스터 비교 연구. <문화경제연구>, 제21권 제2호, 89-124.

민범식 (1985). <서울 을지로 3가지구 환경개선 방안 연구 : 도시계획 기법을 적용하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민복기 (1995). <서울시 도시공간구조변화에 따른 도심부 개발 계획안 : 세운상가구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권일 (1999). <도심재개발의 다차원공간설계를 위한 도시설계 개선방안 : 을지로 3·4가역 주변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명현 (2004). <서울시 청계천복원사업의 갈등관리 과정에 관한 연구 : 서울시와 상인집단간의 협상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박민진 (2004). <신뢰구축을 통한 청계천복원사업의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배균 (1993). 서울시 인쇄업의 국지적 노동시장에 관한 연구. <지리학 논총>, 제22호, 57-76.

박상태 (2001). <공중권을 활용한 세운상가지구 재개발 가능성 구상 : 세운상가 도심재개발구역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선 (1992). <종로-을지로 지역의 가로체계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백선영, 안건혁 (2011). 20세기 초 서울 필지분할의 과정과 물리적 특성 : 인사동과 장사동의 막다른 골목형 도시 조직 유형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7권 1호, 157-164.

변희명 (2018). <세운상가군과 주변구역의 도시·건축계획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학조 (2006). 세운상가 4구역 도시 환경 정비사업에 있어서 도시와 건축. <건축과사회>, 3호, 228-239.

성지은 (2005). 청계천 복원사업의 갈등관리 전략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권 4호, 155-177.

성지은, 김주환 (2005). 청계천 복원사업에 나타난 상징정책 분석. <한국행정학회>, 39호 1권, 261-285.

손세관외(1996), 가로체계 및 필지조직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도시조직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서울의 청계천 이북지역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31권 3호, 21-36.

손창진 (2018).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도시재생 과정 연구 : 세운상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송도영 (2003). 청계천 공구상가의 공간구조와 사회적 성격. <환경사회학 연구>, 4호, 166-190.

송아라 (2019). <세운상가 일대 재정비계획에 있어 '보존' 논의의 형성과정과 주요 쟁점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나은(2006). <가로 공간 활성화를 위한 을지로 2가 제 16, 17지구 설계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심경미(2010). <20세기 종로의 도시계획과 도시조직 변화>.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심한별 (2013). <서울 도심부 도시형태 및 생산활동의 변화에 대한 제도주의적 해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안동혁 (2008). <건축적 랜드스케이프 개념을 적용한 세운상가 일대의 조경 설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예현 (2007). <청계천 지역의 장소성 변화에 관한 연구 : 도심재개발이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창모 (2005). 세운상가 - 태평양전쟁의 사생아, 광복 60년 극단의 도시 삶이 펼쳐졌던 곳. <건축과 사회> 2호, 248-258.

안채완 (2012). <청계천 복원에 따른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연종범 (2018). <1960-70년대 청계천 주민의 삶과 사회경제 변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염복규 (2015). 청계천 복개와 ‘1960년대적 공간’의 탄생. <역사비평>, 113호, 119-140.

염준혁 (2019). <세운상가 보행데크의 특성 연구 : 1단계 공공 선도사업 구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우대규 (2018). <청계천 복원 후 지역 산업 분포 및 공간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우동선, 조윤호 (2018). <서울 입정동 일대 도시조직의 적응 유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4권 7호, 99-106.

원경섭 (2000). <블록(Block)에 의한 도시공간 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 청계천-을지로 지구 블록 재개발에 적응하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경일 (1984). <도시의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도시경관 구성에 관한 연구 : 청계고가 도로변 도시환경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종진, 우명제 (2016). 서울시 제조업 집적지의 공간적 분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1권 2호, 73-91.

이경동 (2008). <청계천 복원에 따른 장소성의 변화와 인근 가로환경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기태 (2003). '청계천 사람들'의 과거에 대한 이해와 청계천 복원. <한국의 민속과 문화>. 7권, 149-173.

이동연 (2009). 세운상가의 근대적 욕망 - 한국적 아케이드 프로젝트의 변형과 굴절. <사회와 역사>, 82호, 249-282.

이두호 (2012). <세운상가에 대한 도시·건축적 재해석>.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범훈 (2017). <서울 도심부 보전의 형성과 변화: 2000년 이후 도심부 관리 계획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세영 (2005). 세운상가, 한국근대성의 공간적 알레고리. <문화과학>, 41호, 194-215.

이세훈 (2000). <역사문화환경보전 도시설계 연구 : 을지로2가 주변 도시설계 제안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승만 (2008). <영화적 묘사를 통한 세운상가 4구역 재개발에 관한 연구 : 크리스탈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이원상 (2007). <도심재생전략으로서 재개발정책의 특성 및 갈등에 관한 연구 : 서울시의 세운상가 재개발 계획을 사례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정원 (2003). <지역 재개발에 따른 도심 내 녹지가로(Green network)조성에 관한 제안 : 종로 세운상가 저층부 계획안>.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이종원 (2016). 사람중심의 청계천 복원사업 개선방안 연구 : 저소득층 소상공인의 입장 중심으로. <도시정책학회 학술대회>.

이지윤 (2020). <지하 공간의 공공적 활용도 제고를 위한 녹지 도입 계획 : 을지로 지하 공공 보행 공간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청미 (2005). <세운상가 보행데크의 계획이 주변지역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이현경 (2020). <도심 내 소규모 제조업 밀집지역의 장소성 도큐멘테이션 : 입정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현수 (2002). <도심내 녹지축 구현을 위한 세운상가군 재개발 계획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봉규 (2003). <청계천 복원계획에 대한 상인들의 위험인지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용순, 김택빈 (2018). 세운상가 공공공간 활성화 프로젝트를 통해 느낀 제도상의 제안. <건축과사회>, 31권. 66-69.

장유경 (2013). <청계천 복원이 주변 지가에 미친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명훈 (1985). <도시설계수법을 적용한 도심의 효율적인 재정비 계획에 관한 연구 : 세운상가 지구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미영 (2020). <산업화 '너머' 의 작업장 : 예지동 시계골목의 기술과 문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현영 (2020), <을지로 가로 활성화를 위한 복합공유주방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연중 (2018). <을지로 제조업 밀집지역 관람대상화에 관한 연구 : 중구 도보관광 '을지유람' 의 공간적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인국 (2004). <비선호시설 사업에 따른 지역주민의 대응유형 연구 : 청계천복원사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충현 (1989). <세운상가 재활용 계획에 관한 연구 : 공공영역 계획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학성, 김숙진 (2020). 세운상가 일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본 한국 도시재생의 통치성과 영토화 전략. <한국지리학회지>, 9권 3호, 533-547.

정현암 (2006). <도심 부적격 상업기능의 재배치계획에 관한 연구: 청계천변 전자·전기상 이전계획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동원 (2017). 청계천 전자상가, 복제의 기술문화, 디지털문화의 형성. , 제11호, 37-78.

조명래 (2003). 청계천의 재자연화를 둘러싼 갈등과 쟁점. <환경사회학 연구>, 4호, 130-165.

조성원 (2009). <청계천 복원에 따른 인접지역 건축물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혜정 (2009). <을지로 인쇄지구에서 사회자본의 역할 : 장항 인쇄지구와의 비교를 통해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진옥현 (2008). <도시재생프로젝트가 도시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청계천 복원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채민수 (2011). <청계천 변 인프라의 건축화 작업을 통한 추모관 계획 : 전태일 추모관 계획안>.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채훈 (2008). <청계천복원사업에 따른 보행네트워크와 건축물 용도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천휘원, 남경숙 (2019). 감성디자인을 통한 낙후지역의 활성화 사례 분석 - 을지로의 문화상업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1권 3호, 96-99.

최림 (2017). <1960년대 말 김수근의 도시건축에 나타난 인공대지에 관한 연구 : 세운상가 및 여의도계획 초기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민아(2014). <장소마케팅 관점에서의 건물전면공간 발전방향 연구 : 서울시 청계천 주변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성문 (2014). <공공디벨로퍼의 비공공성 연구 - 청계천복원사업과 '가든파이브' 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영금 (2019). <도시재생 거버넌스 활동 사례 연구 : 세운상가 일대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혁규 (2019). 청계천·을지로 재개발 반대운동의 투쟁 방식과 활동가들의 경험 -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를 중심으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연구보고서>, 3-36.

최혁규 (2020). ‘세운재정비촉진지구'에서 ‘청계천-을지로 산업생태계'로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의 저항 방식과 활동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문화연구>, 45-84.

하동균 (2005). <공간적 입지 특성이 도시내 산업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청계천 지역의 제조업 및 도소매업종을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수현 (2006). <통합적 갈등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청계천 복원 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현정 (2001). <도시 가로의 결절부를 이용한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종로3가 장사동 가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허태욱 (2004). <도시거버넌스와 갈등에 관한 연구 : 청계천복원사업을 사례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길동 (2004). <장소적 표현특성을 고려한 청계천 복합문화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서진 (2009). <도심 조직과 경관을 고려한 청계천변 주상복합 계획안>.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성준 (2005). <청계천이 종로 주변 도시조직 형성에 미친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성진 (2001). <커뮤니티 공간으로의 세운상가 Renovation적용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성태 (2004). 청계천 복원사업과 청계천의 파괴: 이명박 시장의 신개발주의와 이익의 정치. <경제와사회>, 63권, 39-64.

황기연, 나태준 (2005). 청계천 복원사업의 갈등관리 사례분석. <서울도시연구>, 제6권 제4호, 169-190.

황필선 (2006). <공공사업의 예방적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 청계천복원사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황현철 (2001). <세운상가 재개발 계획안 : 도심지역 기능의 연결성과 도시공원화 계획>.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❷ 보고서

걷고싶은도시만들기시민연대 (2021). <예술작품 제작 과정에서 을지로 기술생태계 이용 방식>. 서울: 중구문화재단.

금기용, 반정화, 김묵한 (2013). <서울시 우리 동네 특화업종 생태계 연구>(서울연 2012-BR-15). 서울: 서울연구원.

김묵한, 정현철, 황민영 (2016). <서울시 주요 제조업의 공정특성별 공간 분포>(서울연 2015-PR-45). 서울: 서울연구원.

김성우외 (2015). <세운상가 그 이상: 대규모 계획 너머>. 서울: 공간서가.

(주)메가리서치 (2015). <을지로 특화업종 관련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중구청 시장경제과.

서울디자인재단 (2019). <청계천 안전안심 디자인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서울디자인재단.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청계천 대토론회: 청계천 복원에 따른 도심부 발전방안>.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역사박물관 (2005). <다시 찾은 청계천>. 서울: 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0). <세운상가와 그 이웃들 1 - 산업화의 기수에서 전자만물시장까지>.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0). <도심 속 상공인 마을 2 - 도심 상공인들의 생활문화>.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1). <동대문 시장 - 불이 꺼지지 않는 패션 아이콘>.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2). <창신동 - 공간과 일상>.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4). <성수동>.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4). <황학동>.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6). <인현동 - 세상을 찍어내는 인쇄골목 인현동>.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연구원 (2014). <도시계획을 통한 도심산업 육성·발전 방안>. 서울: 서울특별시 역사도심 관리과.

서울연구원 (2014). <토론회자료집: 도시재생의 관점에서 본 세운상가군 재조명>. 서울: 서울연구원.

서울특별시 (2003). <청계천복원관련 상인대책추진 백서(가안)>. 서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2006). <청계천 복원사업 백서>. 서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2018). <다시 세운을 만들다: 기술의 역사와 미래의 열정이 함께 만든 1273일의 기록>. 서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2020). <세운일대 산업 특성 조사 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도심재정비1담당관 (2009). <세운재정비촉진지구 그 과정의 기록>. 서울: 서울특별시.

서해문화재연구원 (2019). <세운 재정비촉진지구 3-4,5구역 문화재 발굴조사 시발굴조사 약식보고서>. 서울.

오은주, 김범식, 김묵한, 반정화, 윤형호, 정병순, 조달호, 최봉, 유승남 (2016). <제조업 다시보기: '매뉴팩처 서울' 도약 전략>(서울연 2016-PR-04). 서울: 서울연구원.

이동연·조동원·김일림 (2015). <한국·일본·대만·홍콩의 전자상가와 동아시아 디지털 문화형성 결과 보고서>. 광주: 아시아문화정보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정병순 (2006). <서울시 도심의 산업구조변화에 따른 산업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져스트 프로젝트 (2018). <청년 생산활동 촉진을 위한 산업 생태계 현장연구 - 을지로 지역의 2차 및 4차 산업을 중심으로>. 서울: 서울특별시·청년허브.

중구문화재단 (2019). <중구예술인기초조사>. 서울: 중구문화재단.

중앙문화재연구원 (2003). <청계천 복원구간내 유적 시굴조사 약식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최봉, 김묵한 (2015). <서울시 소규모 제조업 밀집지역 현황과 전망>(서울연 2014-PR-38). 서울: 서울연구원.

한국건축역사학회 (2017). <포용의 도시 을지로, 을지로 100년의 도시와 건축>. 서울: 서울특별시.

❸ 기타 간행물

강우원외6명 (2009). <청계천, 청계고가를 기억하며>. 서울: 마티.

공공네트워크 (2016). <2016 SEWOON WORKERS ARCHIVE>. 서울: 서울특별시.

공공네트워크 (2017). <세운사람들>. 서울: 서울특별시.

공공네트워크 (2017). <걷다, 세운>. 서울: 서울특별시.

공공네트워크, 시민자치문화센터 (2018). <2017 손끝창의학교>. 서울: 서울특별시.

김똘똘 (2019). <가삼을지로 탄생기>. 서울.

김미경 (2018). <다시, 을지로 - 우리는 지금 을지로에 간다>. 서울: 스리체어스.

김성우, 이영범, 제프 해멀, 케이스 크리스티안서 외 (2015). <세운상가 그 이상: 대규모 계획 너머>. 서울: 공간서가.

김은정 (2020). <을지로 그림책 : 철거 전의 을지로, 그 마지막 기록>. 서울: 푸른북스.

내용연구소 (2018). <산림살림>. 서울: (재)중구문화재단 충무아트센터.

노무라 모토유키 (2013). <노무라 리포트 - 청계천변 판자촌 사람들 1973-1976>. 서울: 눈빛.

문화연대 (2003). <청계천 탐험>. 서울: 문화연대.

박성수 (편) (2008). <청계천, 끝나지 않은 신화>. 서울: 사닥다리.

배민, MJ KIM (2020). <어이, 주물씨 왜, 목형씨>. 서울: 배달의민족.

서울디자인연구소 (2017). <반짝반짝 을지로 : 조명이 공간을 바꾼다>. 서울: 서울디자인재단.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2019). <세운콘크리트>.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연구원 (2018). 제2부 메이드 인 서울: 서울의 도시제조업. <서울의 공간경제학>. 서울: 서울연구원.

서울중구청 (2018). <중구통계연보>. 서울: 중구청.

서울특별시 (2017). <다시세운 메이커시티>. 서울: 서울특별시.

설동주 (2020). <을지로수집>. 서울: 비컷.

세운협업지원센터 (2017). <소식지: 안녕하세운>. 서울: 서울특별시.

세운협업지원센터 (2019). <함께세운만들기>. 서울: 서울특별시.

신재원, 장홍규 (2017). <세운식탐>.

안미경 (2019). <청계천 탱크>. 서울: 다인아트.

윤홍은 (2004). <마지막 공간 - 청계천 사람들의 삶의 기록>. 서울: 삶이보이는창.

어반플레이 (2018). <아는동네 아는을지로 : 동네를 경험하는 새로운 기준, Vol.02>. 서울: 어반플레이.

엄은경외 (2020). <을지로 이야기를 담다>. 서울: 푸른북스.

을지예술센터 (2020). <뉴물전>. 서울: 을지예술센터.

을지예술센터 (2020). <루트메탈리카>. 서울: 을지예술센터.

이경재 (2002). <청계천은 살아있다>. 서울: 가람기획.

이종호 (2013). <을지로 1 : 을지로를 말하는 12개의 도시 건축적 시선>. 서울: 우리북.

이종호 (2014). <을지로 2 : 을지로를 말하는 17가지 도시건축적 시도들>. 서울: 우리북.

전우용 외 (2001). <청계천: 시간, 장소, 사람: 20세기 서울 변천사 연구>.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조광권 (2005). <청계천에서 역사와 정치를 본다 : 다시 흐르는 청계천>. 서울: 여성신문사.

최인기 (2018). <청계천 사람들, 삶과 투쟁의 공간으로서 청계천>. 서울: 리슨투더시티.

최협 (2012). <판자촌 일기 - 청계천 40년 전>. 서울: 눈빛.

청계천박물관 (2006). <노무라 할아버지의 청계천 이야기>. 서울: 청계천박물관.

청계천박물관 (2013). <청계천 1930>. 서울: 청계천박물관.

청계천박물관 (2018). <메이드 인 청계천 : 대중문화, '빽판' 의 시대>. 서울: 청계천박물관.

한국산업용재협회 (2020). <회원명부>. 서울: 한국산업용재협회.

OO은대학연구소 (2020). <산업정보>. 서울: 우리기획.

OO은대학연구소 (2020). <세운 초보들의 제작기, 미리보기>. 서울: 서울특별시.

OO은대학연구소 (2020). <시민플랜 2.0>. 서울: 서울특별시.

OO은대학연구소 (2021). <을지로는 기술대학 로컬코스>. 서울: 서울특별시.

OO은대학연구소 (2021). <청계천의 일하는 사람들>. 서울: 서울특별시.

magazine DEEP 편집부 (2019). <딥 DEEP Vol.007 : 을지로>. 서울: 마실와이드.

오래전부터 이야기되어 왔던 ‘재개발’은 2014년에 입정동 블럭(세운3구역)이 10개 구역으로 분할되고 3-4,5구역이 사업시행인가되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재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세입자대책 미비, 도심산업생태계 소멸, 근현대산업유산 훼손 등)에 이의를 제기하는 시민활동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Redevelopment, which has been talked about for a long time, began in earnest in 2014 when the block of Ipjeong-dong (Sewoon District 3) was divided into 10 zones and the 3-4,5 zones were allowed to implement the project. Civic activities were also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to object to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the redevelopment process (lack of tenant measures, disappearance of urban industrial ecosystem, damage to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 etc.).
2014.3.
세운재정비촉진지구 계획 변경(세운3구역을 10개구역으로 분할)
2015.7.
세운3-4,5구역 사업시행인가 (중구청)
2015.12.
세운3-1구역 사업시행인가 (중구청)
2017.4.
세운3-2구역 사업시행인가 (중구청)
2018.10.
세운3-1,4,5구역 관리처분인가(중구청)
2018.12.
청계천생존권사수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 관수교에서 천막농성 시작
2018.12.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이하 보존연대) 첫 모임
2019.1.
보존연대와 비대위, 산업용재협회 서울지회(이하 협회), <청계천을지로 재개발 반대 총궐기> 집회 및 행진 진행. 2만 여명 시민의 재개발 반대 연서명 서울시에 전달.
2019.1.
세운재정비촉진지구 계획 전면재검토 및 수표구역 전면중단 발표(서울시)
2019.3.
보존연대, 자체적으로 <청계천 을지로 산업생태계 및 이용자 실태조사> 착수
2019.6.
보존연대, 비대위 및 시민 300여 명, 감사원에 세운 재정비사업 적법성에 대한 공익감사 청구
2019.7.
세입자 대책 위한 도심산업 실태 전수조사 실시(세운3구역, 세운5-1,3구역, 수표구역 등)(서울시)
2019.8.
보존연대와 녹색당, 세운3구역 시행사 외부감사법 위반으로 경찰고발
2019.8.
청와대 자영업비서관 현장 방문, 상인들과 <청와대 자영업비서실 간담회> 개최
2019.9.
시행사 더센터시티(한호건설), 3-2, 3-6, 3-7구역에 대한 토지수용 절차 진행, 상인들에 이주압박 본격화
2019.11.
청계천을지로 지키기 총궐기 행진(관수교 사거리-을지로3가-서울시청). 서울시장 면담 요청 및 대책 마련을 위한 첫 번째 면담 진행
2020.1.
기자회견 및 퍼포먼스 <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협의체를 당장 마련하라> 진행
2020.1.
청계천 소상공인 생존권 사수 기자회견 <청계천-을지로 일대 일방적 재개발 즉각 중단하라>(소상공인연합회, 백년가게수호국민운동본부 주최)
2020.3.
세운상가 일대 도심산업 보존 및 활성화 대책 발표(산림동 LH지식산업센터, 수표 공공임대상가, 세운3구역 공원부지 내 공공임대복합시설, 세운5-1,3구역 공공임대상가 등)
2020.3.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 청계천생존권사수비대위, 한국산업용재협회, 서울시가 발표한 대책에 대한 입장문 발송
2020.4.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일몰대상 152개구역 중 89개구역 해제(서울시)
2020.4.
청계천 산업생태계 활성화 대책 역행하는 세운지구 일몰 연장, 서울시 도시재정비위원회 규탄 기자회견 개최 (주최: 청계천생존권사수비상대책위원회, (사)한국산업용재협회 서울지회,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 정의당 서울시당)
2020.5.
성명 발표 <산업생태계 파괴하고 건설사 배만 불리는 세운 3-1, 4, 5구역 사업시행인가 취소하라!>
2020.7.
기자회견 및 퍼포먼스 <아무 약속도 안 지키는 가짜 세운 도시재생 필요없다> 진행
2020.8.
<청계천·을지로 산업생태계 파괴하는 세운 재개발 결사반대> 기자회견 및 총궐기 집회 진행
2020.8.
<세운 구역 선이주, 강제 철거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요청> 국가인권위원회 및 서울시 인권위원회를 상대로 진정서 제출
2020.9.
세운5-1,5-3구역 사업시행계획인가 (중구청)
2020.10.
세운3-6, 3-7구역 관리처분인가 (중구청)
2020.11.
수표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사업시행계획인가 (중구청)
2020.12.
긴급 기자회견 및 비대면 답사 <코로나19로 일상은 멈췄는데, 청계천-을지로 재개발은 왜 계속되나!> 진행
2021.1.
수표구역, 3구역, 5구역 상인들, 현실적인 대책을 요구하는 현수막 시위 진행(약 100일)
2021.4.
세운재정비촉진지구 계획 변경(안) 공람 (서울시)
2021.4.
오세훈 서울시장 당선
2021.4.
세운3-3, 3-9구역 사업시행인가 (중구청)
2021.5.
공익감사 결과에 대한 기자회견 <중구청은 세운3구역 재개발을 엉터리로 승인해준 공무원을 중징계하고 사업시행인가를 취소하라!>
2021.7.
세운3-2구역 관리처분인가 (중구청)
2021.11.
세운3-8, 3-10구역 사업시행인가 (중구청)
2021.11.
오세훈 서울시장 세운상가 방문
2022.3.
대진정밀 보존을 요구하는 기자회견 진행
2022.4.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발표 (서울시)
입정동 일대는 조선시대의 길과 필지가 거의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 골목길은 구불구불하며 오래된 한옥과 금속을 다루는 작업장들이 어우러져있는 모습은 특유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기존의 주거용 한옥에 작은 공장들이 들어서며 각 공정과 관련된 기계를 배치하고 작업동선을 확보하며 제약이 많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
As the roads and parcels of the Joseon Dynasty remain almost the same in the Ipjeong-dong area, the alleys are winding, and the combination of old hanok and metal workshops creates a unique atmosphere. Small factories will be built in existing residential hanoks, and machines related to each process will be placed, working lines will be secured, and constrained spaces will be efficiently utilized.
01 02 03 04 05 06 07 08 09
테스트
DS 금속
폭보다 안쪽으로 깊이가 약간 더 긴 작업장 형태이다. 작업장 내부 중앙에 금속으로 제작된 작업대(1,220*2,440mm)가 자리잡고 있고 주변부에 가스통, 용접기 등이 배치되어 있다. 출입문 앞으로 양측으로 작업대가 마련되어 있어 필요시 용접작업을 보조한다. 사무실은 오른쪽 골목으로 들어가면 2층에 따로 있다.

위치

을지로3가 209번지 가옥 중 정면에서 보면 가장 우측에 위치

세부공정

용접

구성원

2인 작업장 (대표자 1인과 직원 1인)
보통은 둘이서 작업하고 가끔 일이 많을 때는 1명이 추가로 함께 일한다. 40대의 젊은 사장님으로 인근 황동메탈에서 일하다 독립하였다. 업체명 DS는 동성(同成, 함께 성공)의 약자이다.

❶ 드릴링 머신

모델명

YSTM-19

제조사

용수

사이즈

200*640*1,250(mm)

❷ 작업대(외부)

입수방법

직접제작

사이즈

1,480*930*810(mm)

❸ 작업대(외부)

입수방법

직접제작

사이즈

1,220*650*800(mm)

❹ 작업대(내부)

입수방법

직접제작

사이즈

1,220*2,440*730(mm)

❻ 특수용접기

모델명

pache-350

제조사

뉴포스-테크

사이즈

740*550*570(mm)

❻ 드릴링 머신
아민테크
안쪽으로 깊은 직사각 형태의 작업장이다. 우측 벽면에 선반이 안쪽 좌측 모서리에 밀링이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다른 정밀가공 작업장에 비해 넓은 편이어서 주요기계를 배치하고도 작업장 가운데에 많은 공간이 확보된다. 이 공간은 필요시엔 일도 하고 찾아오는 손님이나 동료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으로 쓰인다.

위치

입정동 155번지 가옥 북측에 면한 세 업체 중 가장 서쪽

세부공정

세부공정 정밀가공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하얗고 긴 머리를 풀어헤친 사장님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다른 기술자들에 비해 말을 조리있게 잘하는 편이며, 아민테크 동료들이 자주 모이는 곳이기도 하다.

❶ 선반

모델명

TIPL-4

제조사

통일

사용시작

1991년

입수방법

구매(당시 800만원)

사이즈

2,160*850*1,250(mm)

❷ 드릴링 머신

모델명

STD-360

제조사

삼천리

사용시작

2001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300*650*1,000(mm)

❸ 드릴링 머신

모델명

YSDM-19

제조사

용수

사용시작

2001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360*600*1,250(mm)

❹ 밀링

제조사

일광정공

사용시작

2001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1,550*1,400*2,500(mm)

❺ 용접기

모델명

TIG 350

제조사

맹호산업

사용시작

2001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800*300*1,500(mm)

한진정밀
대략 정사각 형태의 작업장이다. 좌측 벽면과 가까이 평행하게 선반이 놓여있고 안쪽 우측 모서리에 밀링이 비스듬히 놓여져 있다. 좁은 공간에서 기술자의 동선과 작업반경을 확보하면서 기계가 효밀도있게 배치되어 있다. 도구들이 상당히 질서있고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다. 작업장의 두면이 미닫이 유리문으로 골목과 면하고 있어 내부는 상당히 밝고 꺾어지는 골목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길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눈에 잘 띈다.

위치

입정동 155번지 가옥 북동측 모서리

세부공정

정밀가공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작은 체형의 하얀 파마머리 사장님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❶ 선반

제조사

통일

사이즈

2,170*850*1,300(mm)

❷ 밀링

모델명

KMC 7700

제조사

기흥

사이즈

1,530*1,520*2,160(mm)

❸ 드릴링 머신

모델명

YSTM-19

제조사

용수

사이즈

540*610*1,240(mm)

미림샌딩
안쪽으로 깊은 직사각 형태의 작업장이다. 안쪽에 샌딩기계와 환풍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당히 좁은 공간으로 기술자는 항상 샌딩기계 앞에 서서 작업하고 작업이 없을 시에는 다른 곳에서 휴식을 취한다.

위치

을지로3가 206번지 가옥 중 속골목 오른편 끝쪽 작업장

세부공정

샌딩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을지로3가 206번지 가옥에서 현재 일하고 있는 업체 중 제일 먼저 <미림샌딩>이 들어왔고, 다음에 <강원빠우>가 들어왔다. <미림샌딩> 사장과는 함께 밥도 먹고 술도 마시는 막역한 사이인데, 빠우와 샌딩이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이라 예전에는 저녁에 작업장에서 삼겹살도 구워먹고 술도 많이 마셨다.

❶ 샌딩기계

사이즈

910*700*1700(mm)

❷ 먼지흡입기

사이즈

500*460*2000(mm)

❸ 모터

사이즈

1400*460*600(mm)

강원빠우
대략 정사각 형태의 작업장이다. 출입구로 들어가면 바로 앞에 책상과 티비가 놓여있고, 정면 안쪽 중앙에 빠우기계와 환기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 왼편으로 각종 빠우 도구와 작업 결과물이 쌓여있다. 크게 왼편은 작업공간, 오른편은 사무 및 휴식공간으로 나눠진다.

위치

을지로3가 206번지 가옥 내 속골목으로 들어가면 가장 안쪽에 자리잡은 작업장

세부공정

샌딩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박0익은 1947년생으로 1970년대 후반부터 청계천에서 일을 시작했고, 1998년부터 본 작업장에서 일을 했다. ‘강원’이란 이름은 이전에 같이 동업하던 사람과 본인이 모두 강원도 출신이라 <강원빠우>라고 지었다. 일을 할 때 앞치마를 착용한 모습이 인상적이다. 빠우작업시 효율적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앞치마를 착용하고 손과 함께 배로 압력을 가한다.

❶ 빠우기계

사이즈

1,080*200*800(mm)

❷ 흡진시설 겸 선반

사이즈

2,000*1,500*1,500(mm)

다복
대략 정사각 형태의 영업장. 출입구 가운데 약 3-4명이 둘러앉을 수 있는 작은 원형테이블이 놓여져있고 좌우측으로 수납선반, 냉장고, 정수기 등이 놓여있다.

위치

을지로3가 209번지 가옥 중 속골목으로 들어가 좌측에 위치

세부공정

서비스. 다방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세운 3-1구역에 있다가 개발이 진행되며 원래 대한스프링 영업장의 일부 공간에 들어왔다. 사장님은 배달이 없는 쉬는 시간에 시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걸 즐겨한다.

❶ 냉장고

제조사

LG

사이즈

600*550*1,600(mm)

❷ 정수기

제조사

clover

사이즈

400*350*1,350(mm)

❸ 캐비넷

사이즈

590*700*870(mm)

❹ 책상

사이즈

1,710*450*750(mm)

❺ 차 테이블

제조사

롯데기공

사이즈

680*680*740(mm)

영진 컴퓨터 조각
직사각 형태의 작업장. 컴퓨터 조각기가 엇갈려서 마주보며 배치되어 있다. 작업자의 작업반경 및 이동동선 확보를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

위치

을지로3가 209번지 가옥 중 속골목 입구 바로 오른편에 위치

세부공정

컴퓨터 조각

구성원

대표자와 직원1인
아내가 직원으로 같이 일함

❶ 컴퓨터 조각기

제조사

화일

사용시작

2001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1,000*1,100*400(mm)

❷ 컴퓨터 조각기

사용시작

2001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1,020*960*1,030(mm)

❸ 드릴링 머신

모델명

BS-3600

제조사

한일

사이즈

180*600*1,030(mm)

원오정밀
작업장 형태는 비정형으로 안쪽으로 깊은 모양이다. 선반은 출입구 쪽 좌측 벽면에 평행하게 밀링머신은 작업장 안쪽 좌측편으로 비틀어 배치되었다. 더 안쪽으로는 창고로 사용하는 별도의 공간이 있다. 일할 때를 제외하곤 대표는 주로 밀링머신 앞에 약간 넓은 공간에서 휴식을 취하기도 하고 손님이나 동료들과 이야기를 나눈다. 안쪽으로 깊고 창문이 없어 상대적으로 다른 작업장보다 어둡고 동굴같은 느낌이 든다.

위치

입정동 105번지 3층 건물 중 1층의 가장 왼쪽

세부공정

정밀가공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사장님의 돋보기를 쓰고 작업장 안쪽에 앉아있거나 담배를 피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오토바이를 자주 이용하여 출퇴근을 하며 청계여관 옆 골목 안쪽에 세워놓고 작업장과 오토바이 사이를 자주 오가는 모습이 보인다.

❶ 선반

제조사

통일

사이즈

2,100*550*1,250(mm)

❷ 밀링
❸ 드릴링 머신
대원 세탁소
직사각 형태의 작업장. 출입구 바로 앞 좌우측에 다리미판과 재봉틀이 놓여져 있고 제일 안쪽에는 별도의 세탁실이 있다. 천정공간은 수선한 의류들을 걸어놓는다. 작업장 문 밖 상단에 설치된 봉에 수선 혹은 세탁 완료된 의류를 걸어놓으면 맡긴 사람이 알아서 찾아가기도 한다.

위치

입정동 105번지 3층 건물 중 좌측면에 위치함

세부공정

서비스. 세탁소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❶ 작업대

사이즈

840*490*1000(mm)

❷ 재봉틀

제조사

YAMATO

사이즈

500*120*500(mm)

❸ 세탁기

제조사

삼성

사이즈

680*640*1200(mm)

신화공업사
비정형 사각형 형태의 작업장이다. 입구 좌측편에는 작업대가 우측과 안쪽으로는 작업도구가 적재되어 있다. 동진공업사와 비교해보면 소형 작업을 많이 해서 작업장 외부보다 작업장 내부 작업대 앞에서 용접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위치

입정동 105번지 3층 건물 중 1층의 가장 왼쪽에 위치

세부공정

용접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신화공업사의 대표는 같은 건물에 위치한 동진공업사 대표의 형이다. 동생은 형에게 용접기술을 배웠다. 최근 안과 수술을 받아 썬그라스를 자주 쓰고 있다.

❶ 드릴링 머신

모델명

DS-120

제조사

달수철공소

사용시작

1984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180*640*1,000(mm)

보루방_제조사로고
대진정밀
작업장은 거의 정사각형의 형태이며 선반 2대와 밀링 1대를 보유하고 있다. 입구로 들어서면 좌측 벽면 붙어 평행한 위치와 출입구 면에 평행하게 두 대의 선반이 길게 놓여 있고, 작업장 안쪽 오른편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밀링이 놓여있다. 길다란 형태의 선반들을 작업장 가장자리로 배치하고 밀링을 오른편 안쪽으로 넣어 작업장의 가운데 부분에 작업자의 작업반경과 이동동선을 최대한 확보하였다. 선반의 머리가 출입구 쪽으로 향해 있는 것은 길다란 봉 형태의 재료를 넣는 상황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이는 대부분의 정밀가공 작업장의 선반배치에서 보여지는 특징이다.

위치

입정동 105번지 3층 건물 중 1층의 중앙부 (계단입구 좌측)

세부공정

정밀가공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대표 김0구는 1958년생이다. 현재는 한창 때보다 일감이 줄어 작업장 앞 골목에 나와 동료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다른 곳에서 술마시는 모습이 눈에 많이 띈다. 작업장 입구에 세로로 긴 ‘청계축구동우회’ 간판이 눈에 띄는데, 김0구는 과거에 회장을 역임했었다.

❶ 선반

모델명

TIPL-4

제조사

통일

제조일

1989.02.13

사이즈

2,200*650*1,220(mm)

❷ 선반

제조사

화천기공

제조일

1989.02.

사이즈

1,850*530*1,220(mm)

❸ 드릴링 머신

모델명

STD-410

제조사

삼천리

사이즈

높이 1,200(mm)

❹ 밀링

모델명

CMT-1200

제조사

청송기계

제조일

1990.07.

사이즈

2,200*1,425*2,180(mm)

❺ 드릴링 머신

모델명

SMD-360

제조사

삼천리

사이즈

540*200*940(mm)

수정다방
직사각 형태의 공간에 작은 사각형 공간이 합쳐져 있는 형태의 영업장이다. 출입구로 들어가면 좌측은 다수의 테이블과 의자가 놓여있으며 약 15인 정도가 수용가능하다. 우측은 음료를 준비하는 공간이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임. 냉장고, 가스레인지, 개수대 등이 놓여져 있다. 입정동에서 가장 큰 규모의 다방인 만큼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회의는 주로 이 곳에서 이뤄진다.

위치

입정동 105번지 3층 건물 중 2층 정면부에 위치

세부공정

서비스. 다방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젊었을 때부터 입정동에 들어와 다방일을 시작했다. 젊었을 때부터 경험한 일들로 인해 남성 중심의 문화에 대해 비판적인 이야기도 자주 한다. 음료 뿐만 아니라 가끔 주변 사장님들의 요청이 있을 때는 식사를 준비해서 팔기도 한다.

❶ 탁자

사이즈

1,050*600*720(mm)

❷ 의자

사이즈

570*550*730(mm)

❸ 직립형 냉장고

사이즈

750*680*1,650(mm)

❹ 직립형 냉장고

사이즈

640*580*1,900(mm)

❺ 냉장고

제조사

롯데기공

사이즈

1,050*700*950(mm)

❻ 가스레인지

사이즈

930*600*800(mm)

❼ 싱크대

사이즈

1,200*570*640(mm)

❽ 가스레인지

모델명

Satis-2

제조사

Ranee

사용시작

1997년

사이즈

590*380*150(mm)

동진공업사
작업장 내에는 작업대와 용접가스통, 용접봉 등이 배치되어 있음. 작은 규모의 작업은 작업장 내부에서 큰 규모의 작업은 작업장 앞 골목에 설치된 철판 위에서 작업함. 작업장 앞에서 이뤄지는 작업이 많아서 겨울철을 제외하고는 출입문을 떼어놓고 생활함.

위치

입정동 105번지 3층 건물 중 1층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함

세부공정

용접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기술자 정보

1959 출생
1979 21세 군 입대
1983 25세 전역 후 목기 제작 및 칠
1987 29세 결혼
1987 29세 형이 운영하는 청계천 대진공업사에서 용접일 시작
1992 34세 동진공업사 창업

용접 기술자 한0호는 1959년 서울 신당동에서 목기 제작을 하던 부모님 슬하에서 태어났다. 원래는 공고에서 전산 쪽을 공부했으나 군 전역 후 부모님의 일을 도우며 목기 칠 일을 한다. 그러다 1987년에 용접 기술자인 형이 운영하던 입정동 <대진공업사>에서 용접 기술을 배우기 시작한다. 1992년에는 형으로부터 독립해 <동진공업사>를 창업했고, 규모가 큰 인테리어 제품이나 여러 실험기구들 그리고 대학생들의 졸업작품 등의 다양한 것들을 만들고 있다.

❶ 작업장 앞 철판

사이즈

3,800*2,470*20mm

❷ 특수용접기

사이즈

250*250*530(mm)

❸ 드릴링 머신
❹ 작업대
❺ 작업 보조 스탠드

사이즈

350*600*1,350(mm)

금성산업
출입문을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길게 뻗은 직사각형태의 작업장이다. 오른편 안쪽은 복층으로 구성되어 윗층은 사무공간으로 사용하며 컴퓨터 등의 사무기기와 함께 업무 및 거래와 관련된 문서가 깔끔하게 잘 정리되어 있다. 오른편 안쪽 모서리에 밀링이 비스듬히 놓여있고, 프레스기계가 안쪽부터 입구 쪽으로 크기별(1t, 3t, 5t)로 곳곳에 놓여있다. 기계가 가동할 때는 속골목 입구에서부터 5t 프레스기계의 울림이 들린다.

위치

을지로3가 206번지 건물 중 속골목으로 들어가면 왼쪽 위치

세부공정

프레스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❶ 밀링

제조사

남선

사이즈

1,500*1,400*2,000(mm)

❷ 프레스(1톤)

사이즈

800*900*1,800(mm)

❸ 프레스(3톤)

제조사

영진

사이즈

1,200*1,200*2,300(mm)

❹ 프레스(5톤)

제조사

국도

사이즈

1,400*1,400*2,550(mm)

제일정밀
직사각 형태의 작업장. 작업장 안쪽 우측으로 3개의 자동선반기계가 엇갈려 마주보며 자리를 잡고 있다. 작업반경 및 동선을 고려하여 자동선반기계 주변과 벽면으로 벤치레스, 드릴링머신 등이 배치되어 있다.

위치

을지로3가 217번지 건물 중 정면에서 보면 가장 오른쪽에 위치

세부공정

정밀가공/자동선반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❶ 드릴링 머신

모델명

YSTM-19

제조사

용수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300*620*1,220(mm)

❷ 벤치레스

모델명

DH-32

제조사

동양전기

제조일

2000년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1,260*450*1,150(mm)

❸ 벤치레스

모델명

DH-32

제조사

동양전기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1,150*450*1,150(mm)

❹ 캠식자동선반

제조사

SHAUN SHIN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4,550*800*1,600(mm)

❺ 벤치레스

모델명

DK-32

제조사

동국기계

제조일

2005.05.26.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1,050*450*1,150(mm)

❻ 드릴링 머신

모델명

STD-410

제조사

삼천리

사용시작

2012년

사이즈

330*630*1,250(mm)

❼ 벤치레스

모델명

DH-32

제조사

동양전기

제조일

1990.12.

사용시작

2020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1,300*450*1,150(mm)

❽ 캠식자동선반

제조사

연합기계산업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4,800*750*1,500(mm)

❾ 캠식자동선반

제조사

연합기계산업

사용시작

2012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5,000*750*1,500(mm)

명진시보리
살짝 꺾인 직사각 형태의 작업장이다. 소형 시보리기계와 프레스기계가 입구 쪽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안쪽 우측 부분에 대형 시보리가 놓여있다. 나머지 부분은 각종 금형과 시보리 도구를 수납하고 있다.

위치

을지로3가 217번지 건물 중 정면에서 보면 가운데 위치함

세부공정

시보리

구성원

대표자와 직원 2-3인
가까운 인근에 별도의 작업장이 있으며 직원들은 대부분 인근 작업장에서 일하고 본 작업장은 대표자만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영업 및 휴식 등으로 동네에서 왔다갔다하는 대표를 자주 볼 수 있다.

❶ 프레스

제조사

명신공업사

사용시작

1990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900*1,200*2,300(mm)

❷ 대형시보리 기계

사용시작

1983년

입수방법

직접제작

사이즈

620*1,000*1,900(mm)

❸ 소형시보리 기계

사용시작

1983년

입수방법

직접제작

사이즈

1,400*450*900(mm)

영광주물
속골목을 사이에 두고 좌측 공간은 작업장으로 우측 공간은 사무실 및 창고로 사용한다. 작업장 안쪽 좌측편에는 용광로가 자리잡고 있고 안쪽과 우측벽면에는 다양한 주형틀을 보관하고 있다. 구멍 뚫린 철판을 활용하여 복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다리를 통해 2층을 올라가면 보관하고 있는 많은 주형틀이 보인다. 작업장 앞 골목에서도 일과시간 중에는 기계작업이나 포장작업이 활발하게 이뤄진다. 입정동에서 가장 생동감이 느껴지는 골목 중 하나다.

위치

을지로3가 225-6번지 건물 중 속골목 좌우측 두 개의 공간

세부공정

주물

구성원

대표, 공장장 및 6-7명의 직원
대표는 서글서글한 인상과 이미지를 풍긴다. 길에서 마주치면 거수경례와 큰 목소리로 반갑게 인사해준다. 방송프로그램 '서민갑부'에 출연한 경력이 있으며 유머와 말솜씨가 좋다.

❶ 용광로
❷ 쇳물바구니

입수방법

직접제작

❸ 드릴링 머신
❹ -

입수방법

직접제작

❻ 냉장고/정수기
❻ 드릴링 머신
대한스프링
입구로 들어가면 오른편으로는 실내작업장이 왼편으로는 가설덮개만 씌워진 외부 작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내작업장에는 주로 스프링을 말아내는 기계들이 배치되어 있다.

위치

을지로3가 209번지 건물 중 속골목 가장 안쪽에 위치

세부공정

스프링 제작

구성원

2인 작업장 (대표자 1인, 직원 1인)>
사장님은 이 가옥에서 유년시절을 보내고 작업장을 꾸렸다. 일이 많을 때만 출근하고 직원은 항상 출근해있으나 일이 없는 경우에는 동네를 배회하는 모습을 자주 본다.

대우목형
폭에 비해 깊이가 훨씬 깊은 직사각 형태의 작업장이다. 입구에서 가장 안쪽의 좌측은 작업대가 우측은 사무공간이 배치되어 있다. 양쪽 벽면을 따라 목형 작업에 필요한 기계들이 배치되어 있다. 사무책상 위에는 오래된 모델의 작은 TV가 놓여져있다.

위치

을지로3가 209번지 건물 중 속골목으로 들어가면 우측 위치

세부공정

목형

구성원

대표자 1인 작업장
대표 장0일은 1958년생으로 작은 체격이긴 하지만 동네에서 알아주는 마당발이다. 주변 동료들은 ‘소문을 내고 싶으면 장0일 사장에게 얘기하면 하루 내에 동네가 안다’고 우스게소리로 말한다. 점심식사 후에 이 작업장에서 식후 커피를 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주로 맞은 편에 다방에서 시켜 마신다. 작업장 내 TV는 항상 켜져있다.

❶ 작업대

사이즈

2,290*1,000*810(mm)

❷ 드릴링 머신

모델명

HBO-13

제조사

GENERAL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540*720*900(mm)

❸ 목공톱

제조사

TOWA

제조일

1963년

사용시작

1983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1,000*550*1,610(mm)

❹ 보조작업대

사용시작

1986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405*950*50(mm)

❺ 목공용 선반

제조사

삼호기계공업사

제조일

1973년

사용시작

1986년

입수방법

중고구매

사이즈

1,650*250*1,030(mm)

❻ 바이스

사용시작

2006년

입수방법

구매

사이즈

280*560*130(mm)

입정동의 한창 분주했을 때와 철거 직전에 수집하였다. 금속가공 작업장의 기계, 사람과 관련된 ‘소리’. 이주시 정리를 하며 작업장 구석에서 나온 ‘작업스케치’ 메모. 각각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업체명과 특유의 글씨체가 담긴 ‘간판’과 수많은 사람들이 드나들었을 ‘출입문’. 이주나간 작업장 내에 놓여있는 ‘도구와 물품’.
It was collected during the busy time of Ipjeong-dong and just before demolition. 'Sound' relating to machines and people in metal processing workshops. A 'work sketch' memo from the corner of the workshop while organizing when moving. A "signboard" containing the company name and unique handwriting that contains each story, and an "entry door" that would have been visited by countless people. 'Tools and supplies' left in the workshop where the owner left.
  • 목형작업장의 소리 1

    2021. 11. 18, 수집팀

  • 목형작업장의 소리 2

    2021. 11. 18, 수집팀

  • 목형작업장의 소리 3

    2021. 11. 18, 수집팀

  • 스프링공장의 소리

    2021. 11. 18, 수집팀

  • 다방의 소리

    2021. 11. 18, 수집팀

  • 절단의 소리

    2021. 11. 18, 수집팀

  • 절단작업장의 소리 2

    2021. 11. 18, 수집팀

  • 동네음식점과 골목길 소리

    2021. 11. 18, 수집팀

  • 용접작업장의 소리 1

    2021. 11. 18, 수집팀

  • 용접작업장의 소리 2

    2021. 11. 26, 수집팀

  • 용접작업장의 소리 3

    2021. 12. 02, 수집팀

  • 정밀작업장에서의 투어진행 소리

    2021. 11. 26, 수집팀

  • 재개발공사장 소리

    2021. 12. 02, 수집팀

  • 프레스작업장의 소리

    2021. 12. 02, 수집팀

  • 로구로작업장의 소리

    2021. 12. 02, 수집팀

  • 입정동 좁은 골목의 소리

    2021. 12. 02, 수집팀

  • 입정동 카페 앞 소리

    2021. 12. 02, 수집팀

  • 다방의 '달그락'

    2021. 06. 24, 안근철

  • 리듬악기

    2020. 10. 08, 방나영

  • 스댕 연마

    2021. 10. 20, 반디(한준)

  • 을지로 기록 현장에서 전날 왔던 빗방울 떨어지는

    2020. 08. 06, 이택수

  • 철공소의 일상 소리

    2021. 11. 03, 최하연

  • 을지로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2021. 10. 29, 최하연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